개발121 jQuery Form을 이용한 자료 전송시 인코딩 문제 jQuery Form을 이용하면 폼 전송을 리프레쉬 없이 할 수 있습니다~ 우와!!! 궁금하신 분은 링크를 따라가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주 유용하긴 한데... euc-kr로 전송할 때는 문제가 생기더라구요~ 이 인코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송시마다 모든 자료에 대해서 인코딩 타입을 변경하는게 만만찮은 일이더라구요~ 그런데.. 어라? 파일 전송시에는 인코딩 문제가 안 생긴다는 걸 발견했습니다. 파일 전송하는 타입이 뭐길래 그럴까요??? 제가 조사해 보니... enctype="multipart/form-data" method="post" 이 타입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괜찮더라구요~ 그런데 이건 대용량 자료를 전송할 때 쓰는 방식으로 주로 쓰는거라서 좀 찜찜하긴 합니다. 그래도 지금은 인코딩 문제 없이 .. 2011. 3. 3. Firebug에서 XMLHttpRequest가 안보이는 경우??? Firebug 라는 엄청난 툴이 있습니다. Firefox 에서 쓰이는 디버깅 툴이죠~ 자바스크립트 디버깅 할 때 이거 없으면... 어휴~ 물론~ 크롬의 개발자 도구도 상당히 훌륭한 것 같습니다~ 이 Firebug에서는 XMLHttpRequest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게 상당히 유용합니다~ 어떤 데이터가 전송됐는지 한눈에 확인도 가능하고~ 응답이 제대로 왔는지도 확인이 가능하죠~ Ajax로 페이지를 구성할 때는 정말 엄청난 기능입니다~ 호오~ 이렇게 보이죠~ ㅋ 그런데 가끔 이렇게 표시되지 않는 '요청'이 있더라구요~ 저처럼 이 기능을 주로 쓰시는 분들 중에 궁금증을 가진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단 생각이... ㅋ 제가 확인해 본 결과로는~ Form을 Ajax로 전송하고자 할 때 POST로 multipa.. 2011. 3. 3. iframe에서 높이 조절하기(Cross Domain) jQuery를 이용하였습니다. PHP도 조금 이용했습니다. (그래서 문서의 확장자가 html이 아니라 php 입니다.) 이전에 포스팅 한 글은 크로스도메인을 고려하지 않고 iframe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었는데요~ 이번에는 크로스 도메인을 사용하는 상태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적어 보겠습니다. 외국, 한국 블로그에서 참 많이 소개가 되고 있긴 하지만, 그냥 제 나름대로 다시 정리를 해 보고 싶어서 적어봅니다. 그리고 어느 사이트가 먼저랄 것도 없이 너무 자료가 많았기에 이 기법의 출처가 어딘지는 불분명 하네요~ 코드는 뭐... 제가 새로 적었습니다. 혹시 안되는 상황이 보이신다면 댓글 부탁드려요~ 1. 크로스 도메인에서 왜 iframe 조절이 간단하게 안되느냐!! javascript는 보안 정책의 하나로.. 2011. 1. 21. iframe에서 높이 조절하기 jQuery를 이용하였습니다. Cross Domain을 고려하지 않은 코드입니다. (즉, 같은 도메인을 가진 페이지들 끼리만 작동합니다.) 간단하게 iframe 넣고, 스크립트문 넣어주면, 불러오는 페이지의 높이에 맞추어 자동으로 크기 조절을 합니다. 저는 30px정도 더 크게 만들어지도록 해 놨습니다. 2011. 1. 21.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