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문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DOCTYPE'은 현재 문서가 어떤 표준을 따르고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이것은 제가 웹페이지 작성할 때 기본값으로 설정해 놓고 쓰는 형태입니다. 'XHTML 1.0 Transitional'이라는 표준을 따르겠다는 것이죠~
뭐 여러가지 표준이 있습니다. 음... 사실 여러가지 표준이라고 말하기는 좀 그렇네요...
HTML 4.01과 XHTML 1.0이 있는 것이죠, XHTML은 HTML의 발전형이라고 볼 수 있는데, XML과 연동을 할 수 있고, 소소하게 구문이 바뀐 부분이 있습니다만, 뭐 크게 중요하지 않은 듯 합니다. IE나 FF에서는 무리없이 잘 보여주니까요~
그리고 Transitional과 Strict 두 가지가 있는데요~ 뭐 엄격하고 좀 덜 엄격하고의 차이정도지요~
어떤식으로 적용하는지는 따로 검색을 해 보면 잘 안내가 되어있지 않을까 싶네요~
간단히 적용하는 방법을 보자면,
Dreamweaver에서 새 파일 하고 동그라미 친 부분을 선택해 주면 자동으로 잡힙니다!
그런데, 여기서 제가 하고싶은 말은, CSS나 HTML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이 'DOCTYPE'이 좀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큰 문제는 없지만, 가능하면 문서타입을 적어주는게 좋습니다.
제가 이 글을 적는 이유는, 'a'태그를 block으로 만들고 inline태그 안에다가 넣었더니, DOCTYPE을 넣어주었을 때랑 안 넣어주었을 때랑 CSS적용한 문서가 InternetExplorer에서는 다르게 보이더군요. 그래서 적어봅니다.
혹시 분명히 태그는 맞게 적은 것 같은데 제대로 안 보인다고 생각되면 문서타입을 적어보세요~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이것은 제가 웹페이지 작성할 때 기본값으로 설정해 놓고 쓰는 형태입니다. 'XHTML 1.0 Transitional'이라는 표준을 따르겠다는 것이죠~
뭐 여러가지 표준이 있습니다. 음... 사실 여러가지 표준이라고 말하기는 좀 그렇네요...
HTML 4.01과 XHTML 1.0이 있는 것이죠, XHTML은 HTML의 발전형이라고 볼 수 있는데, XML과 연동을 할 수 있고, 소소하게 구문이 바뀐 부분이 있습니다만, 뭐 크게 중요하지 않은 듯 합니다. IE나 FF에서는 무리없이 잘 보여주니까요~
그리고 Transitional과 Strict 두 가지가 있는데요~ 뭐 엄격하고 좀 덜 엄격하고의 차이정도지요~
어떤식으로 적용하는지는 따로 검색을 해 보면 잘 안내가 되어있지 않을까 싶네요~
간단히 적용하는 방법을 보자면,
Dreamweaver에서 새 파일 하고 동그라미 친 부분을 선택해 주면 자동으로 잡힙니다!
그런데, 여기서 제가 하고싶은 말은, CSS나 HTML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이 'DOCTYPE'이 좀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큰 문제는 없지만, 가능하면 문서타입을 적어주는게 좋습니다.
제가 이 글을 적는 이유는, 'a'태그를 block으로 만들고 inline태그 안에다가 넣었더니, DOCTYPE을 넣어주었을 때랑 안 넣어주었을 때랑 CSS적용한 문서가 InternetExplorer에서는 다르게 보이더군요. 그래서 적어봅니다.
혹시 분명히 태그는 맞게 적은 것 같은데 제대로 안 보인다고 생각되면 문서타입을 적어보세요~